본문 바로가기
728x90

IT개발124

ERD와 정규화(Normalization), 왜 항상 같이 언급될까?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가장 먼저 접하는 개념이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이다.하지만 ERD만 잘 그린다고 해서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여기서 함께 고려해야 할 개념이 바로 정규화(Normalization)이다.✅ ERD란?ERD는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어떤 **엔티티(Entity)**가 존재하는지,각 엔터티가 어떤 **속성(Attribute)**을 가지는지,그리고 엔터티 간에는 어떤 **관계(Relationship)**가 있는지를 도식화한 다이어그램이다.쉽게 말해, 데이터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 예시학생(Student), 수강(Course), 교수(Professor)학생은 여러 과목을 수강하고, 교수는 여러 과목을 .. 2025. 4. 18.
DFD vs UML 비교 정리 ⚔️ 개념 혼동 끝내기! 📌 DFD와 UML, 이름도 비슷하고 다이어그램도 그리는 방식이라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지만,분석 관점, 사용하는 대상, 표현 방식 모두 다릅니다. 아래 표로 깔끔하게 비교해볼게요! 👇🔍 DFD vs UML 한눈에 비교항목DFD (Data Flow Diagram)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목적기능 중심 분석 (무엇을 하는가?)객체 중심 분석 (어떻게 동작하는가?)🔁 중심 요소프로세스, 데이터 흐름, 저장소, 외부 개체클래스, 객체, 시퀀스, 유스케이스 등📐 사용 시기시스템 분석 단계 (요구사항 정의)분석설계구현 전 단계까지 폭넓게📊 표현 방식흐름도 형태 (데이터 이동 중심)다양한 다이어그램 제공 (13종 이상)🧰 사용 예DFD 0레벨, 1레벨 구성클래스 다이어.. 2025. 4. 16.
OSI 7계층 완벽 정리! 네트워크 개념 한 방에 끝내기 IT면접이나 정보처리기사 공부할 때자주 등장하는 키워드, OSI 7계층.하지만 단계도 많고 헷갈리기 쉬워요. 그래서 이 글 하나로 OSI 7계층, 한 방에 정리해드립니다.🧱 OSI 7계층이란?OSI는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예요.쉽게 말해, 네트워크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7단계로 나눈 모델이에요.이 모델은 각 단계별로 역할을 나눠서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 통신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OSI 7계층 구조계층이름주요 역할 및 설명7계층응용 계층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 웹브라우저, 이메일 등6계층표현 계층데이터 암호화, 압축, 인코딩 등의 처리5계층세션 계층통신 연결 설정, 유지, 종료 (예: 로그인 상태 유지)4계층전송 계층포트 번호로 구분, 데이.. 2025. 4. 15.
DNS와 IP의 차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한 번쯤 들어봤을 DNS와 IP 주소.막상 개념을 설명하라고 하면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해볼게요.✅ DNS란?DNS(Domain Name System)는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예를 들어, 우리가 google.com을 입력하면 실제로는 142.250.190.78과 같은 IP 주소로 접속이 이루어지는데,이 변환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DNS입니다.쉽게 말해,DNS =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우리는 기억하기 쉬운 이름(도메인)을 쓰고,컴퓨터는 숫자 주소(IP 주소)로 통신합니다.✅ IP란?IP(Internet Protocol Address)는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일종의 집 주소 같은 개념이에.. 2025. 4. 15.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개발을 하다 보면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특히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의 통신, API 호출, 파일 읽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하지만 초보자라면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기도 하다.이번 글에서는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 실생활 예시, 그리고 개발에서의 사용 사례까지 자세히 정리해보겠다.✅ 동기(Synchronous)란?작업이 순차적으로 처리됨앞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시작됨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림처리가 예측 가능하지만 느릴 수 있음예시:ATM에서 돈을 인출할 때 → 앞사람이 끝날 때까지 기다림코드 예제 (JavaScript):function task1() { console.log("작업 1");}function .. 2025. 4. 14.
Server, DB, DBMS의 차이 – 제대로 알고 가자! 개발을 공부하면서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서버(Server),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다.처음에는 비슷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용어 자체가 어려워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이 개념은 개발자뿐만 아니라 IT 지식을 갖추고 싶은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기초 지식이다.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이 무엇인지, 어떻게 다른지를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본다.✅ Server(서버)란?서버는 클라이언트(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처리한 뒤, 그 결과를 다시 전달해주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을 말한다.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라고 이해하면 된다.(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예시: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브라우저는 서.. 2025. 4.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