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공부하면서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서버(Server),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다.
처음에는 비슷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용어 자체가 어려워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개념은 개발자뿐만 아니라 IT 지식을 갖추고 싶은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기초 지식이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이 무엇인지, 어떻게 다른지를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본다.
✅ Server(서버)란?
서버는 클라이언트(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처리한 뒤, 그 결과를 다시 전달해주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라고 이해하면 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 예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브라우저는 서버에 HTML 파일을 요청하고, 서버는 해당 파일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 특징:
-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받아 응답(Response)함
- 웹 서버, 파일 서버, 메일 서버 등 다양한 역할이 있음
- 항상 켜져 있어야 함 (24시간 작동)
분류 | 예시 |
웹 서버 | Apache, Nginx, Microsoft IIS |
애플리케이션 서버 | Tomcat, Node.js, Jetty, JBoss |
파일 서버 | Samba, FTP 서버 |
클라우드 서버 | 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Azure VM |
기타 | 게임 서버, 메일 서버 등 다양한 목적의 서버 |
✅ DB(Database,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DB)**는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이다.
쉽게 말하면,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해두는 저장소라고 보면 된다.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
- 예시:
사용자 정보, 게시글, 댓글, 주문 내역 등이 DB에 저장됨 - 특징:
- 데이터를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
-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 SQL 등의 언어로 데이터를 조회/삽입/수정/삭제함
분류 | 예시 |
관계형 DB | 사용자 테이블, 제품 테이블, 주문 테이블 (실제 데이터) |
비관계형 DB | JSON 형태의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 로그 데이터 |
예시 데이터 | 쇼핑몰 사용자 목록, 게시판 글 목록, 은행 거래 내역 등 |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란?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다.
즉, DB 자체는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라면, DBMS는 그 저장소를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DB를 생성, 저장, 조회, 수정, 삭제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 대표적인 DBMS 예시:
MySQL, Oracle, PostgreSQL, Microsoft SQL Server 등 - DBMS의 역할:
-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검색, 수정, 삭제 등의 기능 제공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
-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
유형 | 예시 |
관계형 DBMS | MySQL, Oracle, PostgreSQL, MariaDB, Microsoft SQL Server |
비관계형 DBMS | MongoDB, Redis, Cassandra, DynamoDB |
임베디드 DBMS | SQLite (앱 내장형) |
🔁 세 가지의 관계 한눈에 보기
구분 | 정의 | 역할 |
Serv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컴퓨터 | 웹서비스를 제공함 |
DB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 정보를 저장함 |
DBMS | DB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함 |
- 예를 들어보자:
쇼핑몰 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검색하면
➜ 서버가 요청을 받아 DBMS에 질의(Query)를 보내고
➜ DBMS는 DB에서 상품 데이터를 찾아 서버로 전달하며
➜ 서버는 사용자에게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 정리하며
서버, DB, DBMS는 모두 각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하나의 웹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다.
초보 개발자나 취업 준비생이라면 이 세 가지 개념을 반드시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한다.
- 서버는 요청을 받고 응답하는 일꾼 컴퓨터
- DB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창고
- DBMS는 그 창고를 운영하는 관리자
📌 매일 간단히 IT 관련 개념을 익히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http://www.youtube.com/@itbite_daily
오늘의 IT한입
👋 하루 한 입, 쉽게 배우는 IT & 개발 개념!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코딩테스트까지! 취업 준비부터 실무 감각까지 매일 짧고 강력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일
www.youtube.com
'IT개발 > Tech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와 IP의 차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0) | 2025.04.15 |
---|---|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0) | 2025.04.14 |
JWT란 무엇인가? (0) | 2025.04.14 |
GET과 POST의 차이, 완벽하게 정리해보자 (0) | 2025.04.13 |
REST, REST API, RESTful – 이 세 가지의 차이, 확실하게 이해하자 (0) | 2025.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