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산 및 육아/육아정보

자녀장려금이란? 2024년 신청 조건부터 지급 금액까지 총정리!

by 시간기억자 2025. 4. 26.
반응형

저소득 가구의 자녀 양육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 자녀장려금을 알고 있나요?
2024년에도 어김없이 시행되는 자녀장려금 제도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가구 중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국가 지원금입니다. 특히 자녀 1인당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된다는 점에서,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라면 꼭 신청해야 할 제도예요.

 

자녀장려금 홈택스 신청 바로가기 👇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xml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자녀장려금이란?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 부양 자녀가 있는 저소득 가구에 1인당 최대 100만 원(최소 50만 원)**까지 지급하는 제도예요.
가구의 총소득이 7,000만 원 미만일 때 신청 가능하며, 나머지 조건은 근로장려금과 거의 동일합니다.


자녀장려금 지급 조건 요약

구분 총소득 기준  최대 지급액
홑벌이 가구 7,000만 원 미만 자녀 1인당 100만 원 (최소 50만 원)
맞벌이 가구 7,000만 원 미만 자녀 1인당 100만 원 (최소 50만 원)
단독가구 해당 없음 지원 불가

단독가구는 자녀장려금 신청 대상이 아닙니다. (근로장려금은 가능)

 


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자세히 살펴보기

1️⃣ 소득 요건 (2024년 기준)

  • 총소득 기준:
    • 홑벌이 or 맞벌이 가구 → 7,000만 원 미만
  • 총소득에는 다음이 포함됨: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 기타소득, 이자·배당·연금소득 등

부부 합산 소득으로 판단되며, 기준 초과 시 신청 불가합니다.

2️⃣ 재산 요건

  •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모두의 재산 합계액이 2.4억 원 미만일 것
    (주택, 토지, 전세금, 예금, 자동차 등 포함)

부채는 재산에서 차감하지 않음에 유의하세요.

 


신청 불가한 유형은?

자격을 모두 충족해도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면 자녀장려금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 외국 국적자 (단, 한국인 배우자 또는 자녀가 있는 경우 제외)
  •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경우
  • 전문직 사업자 (의사, 변호사 등 포함)
  • 근로소득 월평균 500만 원 이상인 근로자

가구 유형별 정의 (꼭 확인!)

  • 단독가구: 배우자, 자녀, 직계존속 모두 없는 1인 가구
  • 홑벌이 가구:
    • 배우자가 없고 자녀 또는 직계존속이 있는 경우
    • 배우자는 있지만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인 경우
  • 맞벌이 가구: 부부 모두 총급여액 300만 원 이상인 경우

가구 유형에 따라 신청 가능 여부 및 지급액이 달라지므로 꼼꼼히 체크해야 해요!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은?

  • 신청 기간: 매년 5월 (정기신청)
  • 신청 방법: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 ARS 등

누락 시, 11월에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지만 지급액의 10%가 감액됩니다.


총정리 요약! 체크리스트

✅ 부양 자녀가 18세 미만인가?
✅ 가구 총소득이 7,000만 원 미만인가?
✅ 가구의 총재산이 2.4억 원 미만인가?
✅ 외국 국적자, 전문직 사업자는 아닌가?

이 4가지를 모두 충족한다면, 자녀장려금 신청 대상일 가능성이 높아요!


함께 보면 좋은 내용

자녀장려금은 근로장려금과 함께 신청 가능하며, 둘 다 지급받을 수도 있어요.
특히 5월 종합소득세 신고와 함께 자동 신청되는 경우도 있으니, 국세청 홈택스 알림을 꼭 확인해 보세요!

 

 

자녀장려금 홈택스 신청 바로가기 👇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xml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