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면접이나 정보처리기사 공부할 때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 OSI 7계층.
하지만 단계도 많고 헷갈리기 쉬워요. 그래서 이 글 하나로 OSI 7계층, 한 방에 정리해드립니다.
🧱 OSI 7계층이란?
OSI는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예요.
쉽게 말해, 네트워크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7단계로 나눈 모델이에요.
이 모델은 각 단계별로 역할을 나눠서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 통신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 OSI 7계층 구조
계층 | 이름 | 주요 역할 및 설명 |
7계층 | 응용 계층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 웹브라우저, 이메일 등 |
6계층 | 표현 계층 | 데이터 암호화, 압축, 인코딩 등의 처리 |
5계층 | 세션 계층 | 통신 연결 설정, 유지, 종료 (예: 로그인 상태 유지) |
4계층 | 전송 계층 | 포트 번호로 구분,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TCP/UDP)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까지 데이터 경로 설정 (IP 주소 기반, 라우팅) |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MAC 주소 기반 통신, 오류 검출 (스위치 등) |
1계층 | 물리 계층 | 전기 신호, 케이블, 허브 등 하드웨어적 요소 |
🧠 쉽게 외우는 법
물–데–네–전–세–표–응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
단어만 외워도 흐름이 눈에 들어와요!
🧪 예시
웹브라우저로 구글에 접속한다고 가정해볼게요.
- 7계층(응용): 내가 주소창에 www.google.com 입력
- 6계층(표현): 요청 데이터가 인코딩됨
- 5계층(세션): 브라우저와 서버가 연결 세션 생성
- 4계층(전송): 포트 80(HTTP)으로 통신 시작
- 3계층(네트워크): 구글 서버의 IP 주소로 라우팅
- 2계층(데이터링크): MAC 주소로 통신 경로 설정
- 1계층(물리): 전기 신호로 실제 데이터 전송
🧩 정리
- OSI 7계층은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기본 뼈대
- 정보처리기사, 면접 질문에 자주 등장
- 앞글자 외우기: 물–데–네–전–세–표–응
📌 매일 간단히 IT 관련 개념을 익히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http://www.youtube.com/@itbite_daily
오늘의 IT한입
👋 하루 한 입, 쉽게 배우는 IT & 개발 개념!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코딩테스트까지! 취업 준비부터 실무 감각까지 매일 짧고 강력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일
www.youtube.com
반응형
'IT개발 > Tech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D와 정규화(Normalization), 왜 항상 같이 언급될까? (0) | 2025.04.18 |
---|---|
DFD vs UML 비교 정리 ⚔️ 개념 혼동 끝내기! (0) | 2025.04.16 |
DNS와 IP의 차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0) | 2025.04.15 |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0) | 2025.04.14 |
Server, DB, DBMS의 차이 – 제대로 알고 가자! (0) | 2025.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