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DFD와 UML, 이름도 비슷하고 다이어그램도 그리는 방식이라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지만,
분석 관점, 사용하는 대상, 표현 방식 모두 다릅니다. 아래 표로 깔끔하게 비교해볼게요! 👇
🔍 DFD vs UML 한눈에 비교
항목 | DFD (Data Flow Diagram) |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
🎯 목적 | 기능 중심 분석 (무엇을 하는가?) | 객체 중심 분석 (어떻게 동작하는가?) |
🔁 중심 요소 | 프로세스, 데이터 흐름, 저장소, 외부 개체 | 클래스, 객체, 시퀀스, 유스케이스 등 |
📐 사용 시기 | 시스템 분석 단계 (요구사항 정의) | 분석 |
📊 표현 방식 | 흐름도 형태 (데이터 이동 중심) | 다양한 다이어그램 제공 (13종 이상) |
🧰 사용 예 | DFD 0레벨, 1레벨 구성 | 클래스 다이어그램, 시퀀스 다이어그램 등 |
🧪 시험 출제 | 정보처리기사 필기 1과목 자주 출제 | 실무 응용 및 NCS, 면접 대비 중요 |
🧠 함께 기억하면 좋은 팁
- DFD는 ‘어떤 정보가, 어디로, 어떻게 흐르는가’를 파악하는 도구!
- UML은 ‘어떤 객체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어떤 구조로 동작하는가’를 분석!
📌 예제 비교
📌 DFD 예시 (도서 대여 시스템)
[사용자] → 대여 요청 → [대여 처리 프로세스] → 대여 결과 → [사용자]
↓
[대여 정보 저장소]
📌 UML 예시 (도서 대여 시스템)
- 클래스: 사용자, 도서, 대여관리
- 시퀀스 다이어그램:
- 사용자가 도서를 선택 → 대여 서비스 호출 → 데이터 저장 요청
✨ 마무리 요약
✔️ DFD: 데이터 흐름 중심, 기능 분석용
✔️ UML: 객체 중심, 구조 + 행위 분석
✔️ 시험, 면접 대비할 땐 비교 포인트 중심으로 정리해두기
📌 매일 간단히 IT 관련 개념을 익히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http://www.youtube.com/@itbite_daily
오늘의 IT한입
👋 하루 한 입, 쉽게 배우는 IT & 개발 개념!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코딩테스트까지! 취업 준비부터 실무 감각까지 매일 짧고 강력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일
www.youtube.com
반응형
'IT개발 > Tech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트랜잭션의 4가지 특성, ACID란 무엇인가? (0) | 2025.04.18 |
---|---|
ERD와 정규화(Normalization), 왜 항상 같이 언급될까? (0) | 2025.04.18 |
OSI 7계층 완벽 정리! 네트워크 개념 한 방에 끝내기 (0) | 2025.04.15 |
DNS와 IP의 차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0) | 2025.04.15 |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0) | 2025.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