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공부

자본주의 - 은행 예금 및 대출에 대한 신용팽창, 물가상승

by 시간기억자 2024. 12. 12.
반응형

신용팽창이란?

신용팽창(信用膨脹)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대출을 통해 신용을 확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신용팽창의 주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출 증가: 은행이 고객에게 대출을 제공하면, 그 대출금이 다시 다른 계좌에 예치되면서 새로운 대출 가능 금액이 창출됩니다. 이 과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신용이 확대됩니다.
  2. 지급준비율: 은행은 고객의 예금을 일정 비율로 준비금으로 보유해야 하며, 나머지는 대출할 수 있습니다. 지급준비율이 낮을수록 더 많은 돈을 대출할 수 있어 신용팽창이 촉진됩니다.
  3. 금리: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추면 대출이 더 유리해져 신용팽창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낮은 금리는 소비자와 기업이 대출을 더 쉽게 받도록 유도합니다.
  4. 경제 성장: 신용이 확대되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여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용팽창이 과도하게 진행되면 인플레이션이나 자산 버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경제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용팽창은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되어야 합니다.

 


자본주의적 관점으로 은행을 통한 예금, 대출 등에 따라 돈이 어떻게 창조되며 물가상승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1. 돈의 창조

예금과 대출의 관계

사람들이 은행에 돈을 예금하면, 은행은 이 돈을 사용해 다른 사람에게 대출을 해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A가 은행에 100만 원을 예치하면, 은행은 이 중 일부(예: 90만 원)를 대출할 수 있습니다. 이 대출금이 B에게 가고, B가 다시 이 돈을 사용해 물건을 사거나 다른 곳에 예치하면, 그 예치금이 또 다시 대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반복되면서, 초기 예치금이 여러 번 대출되어 총체적인 돈의 양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를 신용창조라고 합니다.

 

지급준비율

은행은 고객의 예금을 모두 대출할 수는 없고, 일정 비율(지급준비율)을 준비금으로 보유해야 합니다. 만약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은행은 예금의 90%를 대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용창조의 한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2.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

돈의 양 증가와 물가

돈의 양이 증가하면, 시장에 더 많은 돈이 돌게 됩니다.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가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를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예제

예를 들어, A가 대출을 받아 새로운 자동차를 구입하면,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 수요에 맞추기 위해 생산을 늘리려고 합니다. 하지만 생산능력에는 한계가 있어 즉각적으로 공급을 늘리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가격이 오르게 되고, 이는 전체적인 물가 상승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요약

  • 은행은 예금을 바탕으로 대출을 통해 돈을 창조합니다.
  • 돈의 양이 증가하면 소비가 증가하고, 이는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신용창조는 경제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중앙은행이 이를 조절하려고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은행의 역할과 돈의 흐름, 그리고 물가 상승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