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8QKtGMNHFK0
통화량은 왜 늘어나는가?
돈이 나오는 수도꼭지가 있다
1) 은행
- 은행은 예금을 받아서 그 돈으로 대출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고객의 대출 자격을 확인한 후 자격이 되면 대출금액을 통장에 입금해주는 것이다.
- 대출받는 순간 대출금이 통장에 입금되기 때문에 그 대출금이 동시에 예금이 되는 것이다. 예금도 대출금과 같은 금액으로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은행이 대출해 줄 금액만큼 현금을 보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은행이 대출해주는 순간 시중에 풀리는 돈의 양은 늘어난다.
2) 한국은행
- 대한민국 정부가 있는데, 정부는 항상 세금이 모자라다. 그럼 그 모자란 비용을 빌린다. 국채를 써서 그걸 판다. 그래서 시중에 있는 돈을 끌어오는 것이다. 국채는 주로 개인이 아니라 은행이 산다. 은행은 예금을 가지고 그 국채를 산다.
- 돈을 늘리기도 하고 줄이기도 한다.
3) 외국
- 달러가 원화 양을 늘린다.
- 외국에서 달러가 들어오면 그 전에 없던 돈이 새롭게 풀린다. 다시 외국으로 달러가 나가면 그에 해당하는 돈이 사라진다.
통화량은 왜 늘어날까?
- 은행의 대출
- 정부의 예산 부족
- 외화 유입
⇒ 통화량은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통화량 증가는 좋을까, 좋지 않을까?
돈이 늘어나면,
- 재화와 서비스가 늘어나고
- 늘어난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하려면
- 돈이 더 늘어나야 한다
돈의 양이 늘어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하지만 돈의 양이 늘어나는 만큼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도 늘어난다면 돈 가치만 떨어지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
반응형
'경제 >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 - 은행 예금 및 대출에 대한 신용팽창, 물가상승 (0) | 2024.12.12 |
---|---|
투자('나의 두 번째 교과서 - 경제 2강 리스크, 투자에서 승리하는 법) (3) | 2024.12.04 |
2024년 11월 15일 주요 경제뉴스 TOP 10 (3) | 2024.11.15 |
2024년 11월 14일 주요 경제뉴스 TOP 10 (2) | 2024.11.14 |
위메이드 가상화폐 위믹스 상장폐지 (0) | 2022.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