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공부

투자('나의 두 번째 교과서 - 경제 2강 리스크, 투자에서 승리하는 법)

by 시간기억자 2024. 12. 4.
반응형

https://youtu.be/G1Yfv5M37PY?si=1wD8Y4k5wDpA2WnK

 

투자가 어려운 이유

투자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를 예측해야 하기 때문에 어렵다.

 

투자와 관련해서

“뭘 사야되?”, “언제 사야되?” 보다는

“투자를 어떻게 해야되?”, “자산을 파고 사는 시점은?”, “자산별로 고민해야 할 점은?” 이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몇가지 원칙과 답이 있다

 

주식과 부동산 중 뭐가 돈을 더 많이 벌게 해줄까?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 과거는 알 수 있다.

통계를 보면 알 수 있다.  

 

왼쪽 : 1986년부터의 그래프 / 오른쪽 : 1990년부터의 그래프 (유튜브 화면 중 일부 캡쳐한 이미지)

 

그런데 1990년에 투자를 시작했다면 아파트가 주식보다 많이 올랐는데,

1986년에 투자를 시작했다면 주식이 아파트보다 많이 올랐다.

 

주식이 단기적으로 비쌌던 1990년에 투자했다면 그 후에 지금까지 주식을 갖고있어도 아파트 수익률을 추월하지 못하는 것이고, 주식이 단기적으로 쌌던 1986년에 투자했다면 1986년에 샀다는 이유만으로 그 뒤의 투자 성적은 다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식은 한번 비싸게 사면 아무리 노력해도 소용없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이다.

 

정리해봤을때,

아파트는 투자 시기와 수익률의 관계가 작다.(⇒아파트는 변동성이 작다)

주식은 투자 시기와 수익률의 관계가 크다.(⇒ 주식은 변동성이 크다)

 

자산마다 변동성이 다른 이유는?

자산의 가격은 투자하는 투자자의 마음을 반영한다.

주식에서 중요한 것은 종목보다 타이밍이다.(이것이 싼 시기인지 비싼 시기인지)

 

주식 VS 부동산, 뭐가 더 나은가?

두 자산의 특징을 잘 이해한다면 둘다 나쁘지 않다.

다만 주식에서 주의해야할 점이 있다.

  1. 비싸게 사기 쉽다.
  2. 쌀 때 팔아버리기 쉽다

 

그런데 사람들은 주가가 내려가면 공포스러워서 여기에서 팔타이밍이 아니라 사야할 타이밍인데 못참고 주식을 팔아버린다.

 

경제전문가들의 아이디어

주식은 경제가 좋을 때 오른다

주식은 경제가 나쁠 때 떨어진다. 

그러니까 경제가 좋을때만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

그러면 경제가 좋은지 나쁜지 어떻게 알지?

그건 좋은 경제 지표가 있다.

바로 ‘실업률’이다.

실업률이 계속 오르는 때는 경기가 나쁜것이고, 실업률이 계속 내려갈 때는 경기가 좋은 것인데, 실업률은 한번 오르면 꽤 긴기간 올라가고, 내리면 꽤 긴 기간 내려간다. 그래서 단기간 올랐다 내렸다 하는 지표는 아니다.

그런데 실제 그렇게 투자를 해봤더니 별 차이가 없었다.

왜 그럴까?

주식은 경기가 나쁘면 나쁠때까지 계속 떨어지는게 아니라 주식을 팔사람이 다 팔고나면 경기는 여전히 나빠지지만 주식은 반등은 시작한다. 하지만 언제 반등하는지는 모른다.

 

주식투자에 성공하는 법은?

좋은 주식을 골라서 장기간 보유하는 것만이 정답이다.

문제는 변동성이 너무 커서 하락세에 버티지 못하고 저점 근처에서 팔아버리고, 반등을 놓치고 그런 과정이 반복되서이다.

 

주식 투자는 더 조심해야된다?

변동성이 큰 투자의 또다른 문제점은

리스크도 크고, 수익률도 낮아진다는 것이다.

유튜브 화면 중 일부 캡쳐 이미지

 

변동성이 큰 투자는 생각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투자할때 자주 듣는말 ‘리스크’

리스크 = 위험 / 데인저 = 위험

위험은 가능하면 피해야한다는걸 알고있다.

 

Risk vs Danger

예를들어.

동전 앞면이 나오면 5억을 받고 뒷면이 나오면 10억을 주는 게임을 한다면 이건 위험(Danger)한거다.

절대 하면 안되는 게임이다.

그런데 만약 동전 앞면이 나오면 10억을 받고, 뒷면이 나오면 5억을 줘야하는 게임이라면 이것도 여전히 위험(Danger)하다.

 

그런데, 만약 게임 룰을 바꿔서 앞면이면 1000만원을 받고, 뒷면이면 500만원을 주는 걸로 100번을 하자고 제안한다면.

한번 동전던지는걸 여러번으로 나눈다면 이경우는 Danger가 아니가 Risk인 게임이다.

게임의 횟수를 쪼개면 수학적 확률에 따라 벌 수 있게 된다.(⇒ 큰 수의 법칙)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은?

  • 주식투자를 벌때도 조금 벌고 잃을 때도 조금 잃는 방법을 위해 사고 파는 걸 쪼갤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목 여러개로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 횟수를 늘리는 것 대신 시간을 늘리는 방법도 있다.
    통계적으로 1년을 투자하면 코스피지수가 올랐을 확률 64%, 내렸을 확률 36%이다.
    (참고로 이 부분은 코스피라고 하는 지수에 투자한거지, 단일종목에 투자했을때의 상황은 아니다)

 

우리에게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이유?

고수의 투자법

  1. 괜찮은 기업 목록 작성
  2. 기업 관련 정보 수시 확인
  3. 직접 전화 문의
  4. 기업 이슈 점검

 

그런데 아무나 못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나에게 맞는 투자법을 찾아야 한다.

 

포트폴리오 이론

: 성격이 서로 다른 여러 자산에 투자하면 안정적인 수익률을 유지하면서도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이론

 

최고의 포트폴리오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아무도 모른다. 정답은 없지만 안정적 투자를 위해 해야되는건 맞다.

포트폴리오 안에 현금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부분도 있다. 그 이유는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최 악의 선택을 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현금보유 → 안정적인 판단 → 좋은 수익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