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개발자공부3

Server, DB, DBMS의 차이 – 제대로 알고 가자! 개발을 공부하면서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서버(Server),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다.처음에는 비슷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용어 자체가 어려워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이 개념은 개발자뿐만 아니라 IT 지식을 갖추고 싶은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기초 지식이다.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이 무엇인지, 어떻게 다른지를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본다.✅ Server(서버)란?서버는 클라이언트(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처리한 뒤, 그 결과를 다시 전달해주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을 말한다.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라고 이해하면 된다.(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예시: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브라우저는 서.. 2025. 4. 14.
JWT란 무엇인가? JWT(Json Web Token)는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담아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는 토큰 기반 인증 방식이다.✅ 왜 JWT를 사용하는가?기존에는 세션(Session)을 사용해서 인증 상태를 유지했다.하지만 세션은 서버에 상태를 저장하기 때문에,사용자가 많아지면 서버의 부하도 함께 늘어난다.JWT는 서버가 상태를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사용자 정보를 토큰에 직접 담아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고,이 토큰을 가지고 서버에 요청하면서버는 토큰만으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JWT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JWT는 총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Header (헤더): 토큰 타입과 서명 알고리즘 정보Payload (페이로드): 사용자 정보(예: id, role), 만료 시간 등Signature (서명): 위.. 2025. 4. 14.
GET과 POST의 차이, 완벽하게 정리해보자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HTTP 메서드 중 두 가지가 바로 GET과 POST이다.많은 사람들이 GET은 ‘조회’, POST는 ‘등록’이라고만 알고 있지만,사실 이 둘의 차이는 훨씬 더 명확하고 다양하다.이번 글에서는 GET과 POST의 정의, 동작 방식, 보안 차이, 예시까지 함께 정리해본다.1. GET: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서드GET은 서버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주로 검색하거나, 특정 페이지를 열거나, 데이터를 불러올 때 사용된다.데이터를 URL에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https://example.com/search?query=apple 같은 형식으로 요청이 전송된다.브라우저 주소창에 그대로 남기 때문에 누가 봐도 어떤 데이터를 보냈는지 알 수 있.. 2025. 4.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