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은 웹 개발에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유지할 때 사용하는 핵심 기술이다.
로그인 유지, 장바구니 저장, 사용자 인증 등 다양한 기능에서 사용되며,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 쿠키란?
쿠키는 사용자의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
서버가 쿠키를 생성하면, 클라이언트는 해당 쿠키를 브라우저에 저장하고, 이후 요청 시마다 함께 전송한다.
특징
- 저장 위치: 클라이언트(브라우저)
- 유지 시간: 개발자가 설정한 만료 기간까지 유지됨
- 사용 예시: 로그인 유지, 자동 로그인, 장바구니 저장 등
- 보안: 사용자가 쿠키 파일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할 수 있음
✅ 세션이란?
세션은 서버에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마다 고유한 세션 ID가 부여되고, 클라이언트는 이 ID를 통해 서버와 통신한다.
특징
- 저장 위치: 서버
- 유지 시간: 브라우저 종료 시 또는 일정 시간 후 자동 만료
- 사용 예시: 관리자 페이지, 금융 서비스 등 보안이 중요한 페이지
- 보안: 서버에 저장되므로 상대적으로 안전함
✅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항목 | 쿠키 | 세션 |
저장 위치 | 클라이언트(브라우저) | 서버 |
유지 시간 | 만료 시간 설정 가능 | 브라우저 종료 또는 일정 시간 후 만료 |
보안 | 낮음 (클라이언트에 노출 가능) | 상대적으로 높음 |
용량 제한 | 약 4KB 제한 | 상대적으로 제한 없음 |
사용 예시 | 자동 로그인, 장바구니 저장 | 결제, 개인정보 페이지, 관리자 기능 등 |
✅ 언제 쿠키를 쓰고 언제 세션을 써야 할까?
- 간단한 사용자 설정 저장에는 쿠키가 적합하다.
- 보안이 중요한 정보 처리에는 세션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 매일 간단히 IT 관련 개념을 익히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http://www.youtube.com/@itbite_daily
오늘의 IT한입
👋 하루 한 입, 쉽게 배우는 IT & 개발 개념!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코딩테스트까지! 취업 준비부터 실무 감각까지 매일 짧고 강력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일
www.youtube.com
반응형
'IT개발 > Tech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REST API, RESTful – 이 세 가지의 차이, 확실하게 이해하자 (0) | 2025.04.13 |
---|---|
API란 무엇인가? 프론트와 백엔드는 어떻게 통신할까? (0) | 2025.04.13 |
HTTP와 HTTPS 차이점 완벽 정리 | 웹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 알아야 할 필수 지식 (0) | 2025.04.12 |
개발자를 위한 필수 기술 스택 간단정리(프론트엔드/백엔드) (0) | 2025.02.27 |
DAUM 주소 API 사용 (0) | 2025.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