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HTTP4

GET과 POST의 차이, 완벽하게 정리해보자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HTTP 메서드 중 두 가지가 바로 GET과 POST이다.많은 사람들이 GET은 ‘조회’, POST는 ‘등록’이라고만 알고 있지만,사실 이 둘의 차이는 훨씬 더 명확하고 다양하다.이번 글에서는 GET과 POST의 정의, 동작 방식, 보안 차이, 예시까지 함께 정리해본다.1. GET: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서드GET은 서버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주로 검색하거나, 특정 페이지를 열거나, 데이터를 불러올 때 사용된다.데이터를 URL에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https://example.com/search?query=apple 같은 형식으로 요청이 전송된다.브라우저 주소창에 그대로 남기 때문에 누가 봐도 어떤 데이터를 보냈는지 알 수 있.. 2025. 4. 13.
REST, REST API, RESTful – 이 세 가지의 차이, 확실하게 이해하자 개발을 하다 보면 정말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들이 있다.그중에서도 REST, REST API, RESTful은 가장 많이 언급되는 개념 중 하나다.하지만 단어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이번 글에서는 REST와 REST API, 그리고 RESTful의 개념과 차이점을 예제와 함께 쉽게 설명해보겠다. ✅ REST란?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로,웹에서 자원(리소스)에 접근하는 구조적인 방법을 정의한 아키텍처 스타일이다.REST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URI(자원 식별자)**를 통해 자원을 명확하게 식별**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통해 자원을 조작무상태성(Stateless) 유지 → 요청 간에 서버가 클라이.. 2025. 4. 13.
HTTP와 HTTPS 차이점 완벽 정리 | 웹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 알아야 할 필수 지식 HTTP와 HTTPS 차이점은 웹 개발자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이다.이 글에서는 HTTP와 HTTPS의 정의부터 보안성, SEO 영향까지 핵심을 정리한다.✅ HTTP란 무엇인가?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통신 프로토콜이다.URL 앞에 http://가 붙는 경우, 암호화되지 않은 연결을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HTTP는 데이터를 평문(Plain Text) 형태로 전송하기 때문에, 중간에 누군가가 정보를 가로채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로그인, 결제, 개인정보 입력 같은 페이지에서는 매우 위험하다.✅ HTTPS란 무엇인가?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 2025. 4. 12.
HTML 기본 내용(http 프로토콜 / 웹서버 / WAS / 클라이언트 / 웹개발 / 이클립스)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태그(Tag)를 사용하여 웹문서를 구조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언어→ 브라우저 엔진에 의해 해석되어 실행(출력)되는 언어 - 출력 전용 언어CSL(Client Script Language) : 클라이언트에서 해석되어 실행되는 언어 - HTML, CSS, Javascript태그를 사용하여 웹문서(HTML 문서) 작성 -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시작태그와 종료태그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져서 사용된다. - HTML 태그중에는 독립 태그도 존재한다.시작태그와 종료태그 안에는 하위태그(자식태그) 또는 태그내용을 작성하면 된다.시작태그에는 속성과 속성값을 사용하여 태그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태그에는 동일한 이름의 속성 사용이 불가능하다... 2024. 6.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