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웹기초3

DNS와 IP의 차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한 번쯤 들어봤을 DNS와 IP 주소.막상 개념을 설명하라고 하면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해볼게요.✅ DNS란?DNS(Domain Name System)는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예를 들어, 우리가 google.com을 입력하면 실제로는 142.250.190.78과 같은 IP 주소로 접속이 이루어지는데,이 변환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DNS입니다.쉽게 말해,DNS =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우리는 기억하기 쉬운 이름(도메인)을 쓰고,컴퓨터는 숫자 주소(IP 주소)로 통신합니다.✅ IP란?IP(Internet Protocol Address)는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일종의 집 주소 같은 개념이에.. 2025. 4. 15.
GET과 POST의 차이, 완벽하게 정리해보자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HTTP 메서드 중 두 가지가 바로 GET과 POST이다.많은 사람들이 GET은 ‘조회’, POST는 ‘등록’이라고만 알고 있지만,사실 이 둘의 차이는 훨씬 더 명확하고 다양하다.이번 글에서는 GET과 POST의 정의, 동작 방식, 보안 차이, 예시까지 함께 정리해본다.1. GET: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서드GET은 서버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주로 검색하거나, 특정 페이지를 열거나, 데이터를 불러올 때 사용된다.데이터를 URL에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https://example.com/search?query=apple 같은 형식으로 요청이 전송된다.브라우저 주소창에 그대로 남기 때문에 누가 봐도 어떤 데이터를 보냈는지 알 수 있.. 2025. 4. 13.
웹표준, 웹접근성 웹을 처음 접하고 배워갈때 웹표준​과 웹접근성에 대해서 많이 듣게된다. 그런데 처음에는 그것에 대한 개념을 잡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뭔가 코딩을 생각하고 html,css,js를 배우고자 마음을 잡고있는 상황에서 이론적인 웹표준​과 웹접근성을 들으면 확 와닿기 보다는 뜬구름잡는 것 처름 느껴질 수도 있다. ​ 그래서 오히려 처으메 웹에 대해서 배우면서 웹표준​과 웹접근성을 보다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냥 처음부터 간단히 생각하고 받아들이는게 좋은 것 같다. ​ 물론 웹에 대해서 깊이 공부해가다보면 그 하나하나가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는지 알게되겠지만 처음 배우는 입장에서는 간단이 이해하는게 제일인 것 같다. ​ 그래서 웹표준​과 웹접근성은 무엇인가? ​ 웹표준은 .. 2020. 6.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