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개발/Tech Notes
DNS와 IP의 차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시간기억자
2025. 4. 15. 10:32
반응형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한 번쯤 들어봤을 DNS와 IP 주소.
막상 개념을 설명하라고 하면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해볼게요.
✅ DNS란?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google.com을 입력하면 실제로는 142.250.190.78과 같은 IP 주소로 접속이 이루어지는데,
이 변환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DNS입니다.
쉽게 말해,
DNS =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우리는 기억하기 쉬운 이름(도메인)을 쓰고,
컴퓨터는 숫자 주소(IP 주소)로 통신합니다.
✅ IP란?
IP(Internet Protocol Address)는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
일종의 집 주소 같은 개념이에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는 이 IP 주소를 기준으로 정확한 목적지를 찾아갑니다.
예시:
- IPv4: 192.168.0.1, 142.250.190.78
- IPv6: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DNS와 IP의 차이 요약
구분 | DNS | IP |
역할 | 도메인 → IP 변환 | 장치 식별 및 통신 주소 |
예시 | google.com → 142.250.190.78 | 192.168.0.1, 8.8.8.8 등 |
비유 | 전화번호부 | 집 주소 |
🧠 함께 기억하면 좋은 팁
- **DNS는 시스템(소프트웨어 구조)**이고,
**IP는 숫자 주소(데이터)**입니다. - 실제로는 DNS 서버가 이 변환을 처리합니다.
- 대표적인 공개 DNS 서버는 다음과 같습니다:
- Google DNS: 8.8.8.8
- Cloudflare DNS: 1.1.1.1
📝 마무리
DNS와 IP는 웹의 기본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해해두면 웹 통신, 서버 설정, 네트워크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매일 간단히 IT 관련 개념을 익히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http://www.youtube.com/@itbite_daily
오늘의 IT한입
👋 하루 한 입, 쉽게 배우는 IT & 개발 개념!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코딩테스트까지! 취업 준비부터 실무 감각까지 매일 짧고 강력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일
www.youtub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