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개발/Tech Notes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란? 개발 단계 전체 흐름 완전 정리!

by 시간기억자 2025. 5. 17.
반응형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Software Life Cycle)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운영하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계획된 순서에 따라 단계별로 나눈 체계적인 절차를 의미한다.


✅ 생명 주기의 목적

  • 개발 과정을 논리적·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 단계별 산출물과 역할을 명확히 정의한다.
  • 프로젝트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 주요 단계

  1. 타당성 검토
    • 프로젝트 추진 가능성, 비용 대비 효과 분석
  2. 계획(Planning)
    • 일정, 예산, 인력, 자원 계획 수립
  3. 요구분석(Requirements Analysis)
    •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
  4. 설계(Design)
    • 구조 설계, 데이터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등
  5. 구현(Implementation)
    • 실제 프로그램 코딩
  6. 시험/검사(Testing)
    •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7. 운영 및 유지보수(Maintenance)
    • 실 사용 후 오류 수정, 기능 개선, 시스템 관리

💡 함께 알아두면 좋은 개념

  • 생명 주기를 기반으로 다양한 개발 모형(프로세스 모델) 이 존재한다.
    • 폭포수 모델
    • 프로토타입 모델
    • 나선형 모델 등

📎 정리 요약표

단계 주요 역할
타당성 검토 프로젝트 추진 가능성 평가
계획 전체 일정 및 리소스 배분
요구 분석 사용자 요구사항 파악
설계 시스템 구조 정의
구현 실제 프로그램 개발
시험/검사 품질 검증 및 오류 수정
유지보수 배포 후 관리, 수정, 개선
 

📌 매일 간단히 IT 관련 개념을 익히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http://www.youtube.com/@itbite_daily

 

오늘의 IT한입

👋 하루 한 입, 쉽게 배우는 IT & 개발 개념!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코딩테스트까지! 취업 준비부터 실무 감각까지 매일 짧고 강력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일

www.youtube.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