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개발/Tech Notes

운영체제 프로세스 상태 변화 완벽 정리 - Ready, Running, Blocked, Terminated

by 시간기억자 2025. 4. 27.
반응형

운영체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프로세스 상태(Process States)**이다.
프로세스는 단순히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넘어서, 운영체제에 의해 다양한 상태로 관리된다.


✅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프로세스(Process)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운영체제는 수많은 프로세스를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세스 상태를 구분하고, 필요에 따라 전환시킨다.


✅ 프로세스 상태(State) 종류

  1. New (생성 중)
    •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있는 초기 상태이다.
  2. Ready (준비 상태)
    • 실행할 준비가 완료되었지만, CPU 할당을 기다리는 상태이다.
  3. Running (실행 상태)
    • CPU를 할당받아 실제로 명령어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4. Blocked (대기 상태)
    • 입출력 작업이나 다른 이벤트를 기다리며 대기하는 상태이다.
  5. Terminated (종료 상태)
    • 프로세스의 작업이 모두 완료되어 시스템에서 제거되는 상태이다.

✅ 프로세스 상태 전이(흐름)

New → Ready → Running → Blocked → Ready → Running → Terminated

✅ 프로세스 상태 전이 플로우 차트 (텍스트 기반)

  • New → Ready (프로세스 생성 완료)
  • Ready → Running (CPU 스케줄러에 의해 선택)
  • Running → Blocked (입출력 요청 발생 시)
  • Blocked → Ready (입출력 완료 후)
  • Running → Ready (타임 슬라이스 종료 등)
  • Running → Terminated (프로세스 종료)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게임 프로그램을 켜는 상황"을 예로 들어보자.

  • New: 게임 실행 파일을 더블 클릭해서 프로세스 생성 시작
  • Ready: 게임이 메모리에 올라가고 CPU 할당을 기다리는 상태
  • Running: 게임이 실행되면서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상태
  • Blocked: 게임이 네트워크 서버 응답을 기다릴 때
  • Ready: 서버 응답이 오고 다시 게임 진행 준비
  • Running: 게임 계속 진행
  • Terminated: 게임을 종료하고 프로그램이 완전히 꺼진 상태

✅ 프로세스 상태 요약 표

상태 설명
New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중
Ready 실행 준비 완료, CPU 할당 대기 중
Running 명령어 실행 중
Blocked 입출력 완료 대기 등으로 멈춰있는 상태
Terminated 실행 완료 후 시스템에서 제거된 상태

📌 결론

프로세스는 단순히 실행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Ready, Running, Blocked, Terminated 등 다양한 상태를 오가면서 운영체제에 의해 세밀하게 관리된다.
이 흐름을 이해하면 멀티태스킹, CPU 스케줄링, 프로세스 관리 같은 심화 주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매일 간단히 IT 관련 개념을 익히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http://www.youtube.com/@itbite_daily

 

오늘의 IT한입

👋 하루 한 입, 쉽게 배우는 IT & 개발 개념!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코딩테스트까지! 취업 준비부터 실무 감각까지 매일 짧고 강력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일

www.youtube.com

 

반응형

댓글